본문 바로가기
  • 봄날은 천지에 꽃씨를 뿌리고 떠난다
하고 싶은 얘기들

한동훈 신드롬

by 옐로우 리버 2024. 4. 18.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을 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까. 총선선거운동 기간 중 그가 가는 곳마다 왜 사람들이 몰리고 열광할까.
조금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기는 했다. 그는 법무장관을 하면서 야당의 공세에 명쾌한 대응으로 인기가 대단 했었다. 그때 그의 이미지는 사람들의 뇌리 속에 남아 있었을 것이다. 선거가 임박해지고 그는 여당의 비대위원장이 됐다.
그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넘쳐났다. 그들은 답답한 현실 정치를 벗어날 히어로를 기다린 것은 아닐까.
그들이 당원들이 아니었는지는 모를 일이다.
지금까지 한국정치가 보여주는 것은 야합과 억지의 정치였다. 막무가내로 나만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그런 정치가 주를 이뤘다. 서로를 존중하기 보다는 어떻게 하면 상대를 제압하느냐하는 정치였다.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었다. 그들끼리의 리그였다. ‘위록지마’ 사슴을 말이라고 강요하는 그런 정치에 백성들은 지쳤던 것이다.
선거 때만 되면 위민 정치를 하겠다는 슬로건이 난무했었다.
한두 번 속은 것도 아니다. 믿을 곳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여에 반대하면 야에 몰표가 몰리고 야에 반대하면 여에 몰표가 갔다.
이런 극단적인 상황이 바람직한 것은 아닐 것이다. 장치발전을 저해하는 일이라 생각된다.
극단적 사고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다. 어쩌면 정치가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한다.
선거제도 탓도 있을 것 같다.
한동훈에 열광하는 것은 그런 정치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 아니었을까. 무엇인가 다른 것을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그런 것일 것 같다. 물론 반대편은 정치적 목표달성을 위해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지만,
국민들의 마음은 정치에 대한 혐오로 가득 차 있었다.
누구인가 시대의 영웅이 나타나서 이런 상황을 정리를 했으면 하는 마음들이 있었을 게다.
기성정치를 타파하고 새로운 정치를 바라는 열망들, 계파를 떠나 국민들의 삶과 번영된 나라를 희망하는 마음들, 그런 것일 게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된지 얼마나 많은 세월이 흘렀는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정치 때문일 것이다.
국민을 갈라 치지 않고, 상호 존중과 화합의 정치가 절실한 것은 모두의 마음이다.
기성정치에 물들지 않은 사람을 기대했고 그것이 한동훈으로 표출된 것이 아닐까.
그는 선거에는 참패했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던 그에게 책임이 없다할 수 없다. 그는 바로 물러났다.
그래도 국회 앞 담벼락에는 수많은 화환이 전시되어 있다. 그가 돌아오기를 희망하는 화환들이다. 한국 국민은 얼마나 관대한가. 자신들이 선호했던 사람이 실패해도 기대를 접지 않는 것이다. 국가의 발전을 막고 있는 것은 4류 수준도 안 되는 정치이다.
국민은 바란다. 제대로 된 정치로 나라가 발전하고 내가 행복하고 모두가 행복한 나라가 되기를~~ 2004.4.18. / 정두효

'하고 싶은 얘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는 순간일뿐  (0) 2023.12.22
코로나 방역의 민낯  (0) 2021.08.16
첫눈이 내리는 길  (0) 2020.12.13
바이러스가 세상을 바꿨다.  (0) 2020.09.09
바이러스의 공격  (0) 2020.02.03